Program

1일차 : 9월 2일(화)

구 분 시 간 내 용
등록 09:00 ~ 10:30 등록 및 접수
개회식 10:30 ~ 11:00 개회사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
환영사 국가정보원 3차장·우주항공청장
기조연설 11:00 ~ 12:30
Decision Velocity: How Modern Platforms Turn Space Data into Operational Advantage Mr. Áron Székely
(Palantir Technologies)
Satellite Performance Boost: Elevating Earth Observation for Better Insights Mr. Michel Cancés
(Airbus D&S)
The Fusion Age: Satellites and the Dawn of Integrated Intelligence Mr. Matt Jenkins
(MAXAR)
식사 12:30 ~ 14:00 중식
세션 1/2 14:00 ~ 15:40 세션 1 (국내외 기업 발표)
르웨스트 B+C
발표자
Strengthening National Security: Satellite Imagery and AI for Strategic Advantage Jim Thomason
Vice President of Product
(Planet Labs)
Dabeeo Earth Intelligence 박주흠
대표이사
(다비오)
BlackSky: Space-based Intelligence at the Speed of Conflict Brett Davis
Director
(BlackSky)
지능형 모니터링 - 컨텍스트 온톨로지 기반 앰비언트 에이전트 김태영
대표이사
(인공지능팩토리)
Transforming Space Data into Economic Value Srinibas Patnaik
Commecial Director
(EarthDaily Analytics)
세션 2 (민간위성 활용)
회의실 401호
발표자
SatCHAT(샛챗) : 생성형 AI 기반 지구관측위성 운영 및 활용 (초)지능화 통합 플랫폼 조성익
대표이사
(텔레픽스)
초고해상도 민간위성 SpaceEye-T 김도형
이사
(쎄트렉아이)
우주-항공-지상 연계 데이터 가치사슬을 통한 디지털 지상정보 활용 전략 김동언
책임연구원
(한컴인스페이스)
컨텍의 위성 솔루션 전략: 지구관측 위성과 지속가능 감시 미션 강주형
상무이사
(컨텍)
나라스페이스 GeoAI 솔루션 및 해외 협력 사례 소개 김민식
본부장
(나라스페이스)
휴식 15:40 ~ 16:00 휴식
세션 3/4 16:00 ~ 17:40 세션 3 (국내외 기업 발표)
르웨스트 B+C
발표자
Golden Dome & Beyond Satellite 한화시스템의 우주기술 융합 솔루션 최성환
전문위원
(한화시스템)
RAIC Labs: Unlocking Insights in Geospatial Data Brian Goodwin
Chief Technology Officer
(RAIC Labs)
국가안보를 위한 AI 혁신 전태균
대표이사
(에스아이에이)
Advancing Defence and Intelligence with AI: Insights from Safran.AI Pierrick Cornu
Sales Manager
(Safran.AI)
고품질 공간정보 제작을 위한 위성영상 활용 유지호
부장
(올포랜드)
세션 4 (위성기반 재난재해 활용)
회의실 401호
발표자
위성관측을 활용한 일본의 자연재해 모니터링 김선민
교수
(교토대학교)
오픈소스 기반의 InSAR 지반변위 탐지 이양원
교수
(국립부경대학교)
광학위성영상과 딥러닝 기법을 활용한 산불 피해 평가 : 2025년 3월 한국의 산불에 대하여 김우혁
대학원생
(울산과학기술원)
PlanetScope 위성영상과 Threshold 기법을 이용한 도시홍수 탐지에 관한 연구 이기하
교수
(경북대학교)
물재해 대응력 제고를 위한 물관리 역량과 디지털 기술 융합사례 장연석
차장
(한국수자원공사)
정리 17:40 ~ 18:00 1일차 정리

2일차 : 9월 3일(수)

구 분 시 간 내 용
등록 09:00 ~ 10:30 등록 및 접수
세션 5/6/7 10:30 ~ 12:30 세션 5 (국내외 기업 발표)
르웨스트 B
발표자
BAE 시스템즈의 Space & Mission Systems (구 'Ball Aerospace')의 위성 활용 방안 소개 김소영
이사
(BAE Systems)
The Future is Now – Capella SAR & IonQ Quantum Capabilities for National Defense Sarah McKinnell
Director
(Capella Space)
스페이스 미션 가속화를 위한 클라우드 및 생성형AI 활용전략 유원두
지사장
(아마존웹서비스)
Persistent Space-based SAR: From High-Resolution Tactical Fidelity to Wide-Area Strategic Insight Andrey Shumakov
Regional Data Sales Director
(ICEYE)
18기 초소형 SAR 위성 군집 체계가 여는 새로운 지구 관측 시대 이재용
이사
(루미르)
위성 데이터를 통한 스마트 농촌 재생 황호연
대리
(지오스토리)
세션 6 (공공(지자체) 활용)
회의실 401호
발표자
위성데이터 지능형 인프라 동향과 전망 김은주
본부장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진주샛-1B 및 진주샛-2' 개발과 활용 김경희
센터장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대전샛이 만들 새로운 장르의 위성영상활용 시민참여형 문화/예술 컨텐츠 창출 오현웅
대표이사
(스텝랩)
경기기후위성이 가져온 지방정부의 정책 변화 배현섭
팀장
(경기도)
위성영상과 AI기술 융합 사례 김기홍
과장
(제주특별자치도)
BusanSat을 활용한 PolCube 탑제체의 편광 관측 문봉곤
본부장
(한국천문연구원)
세션 7 (위성정보 빅데이터 활용)
르웨스트 C
발표자
지구관측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위한 분석준비데이터의 활용 박우성
선임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국가위성영상 AI 학습 데이터셋과 활용 오한
책임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정보활용협의체 지원을 위한 정보처리체계 기반구축 현황 및 계획 장재영
책임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차세대소형위성2호를 활용한 극지 관측 김승희
선임연구원
(극지연구소)
차세대 소형위성2호 영상의 국립공원 관리 적용 사례 연구 전청옥
연구원
(국립공원공단)
식사 12:30 ~ 14:00 중식
세션 8/9/10 14:00 ~ 16:00 세션 8 (국내외 기업 발표)
르웨스트 B
발표자
위성임대시대의 시작, Satellite as a Service 인혜진
팀장
(에스아이아이에스)
뉴스페이스를 위한 위성 데이터 기반 프라이빗 챗GPT와 대형언어모델 기술 최정렬
기술이사
(아이옵스)
Sentry: See it before it Happens John-Isaac Clark
Head of Analytics
(MAXAR)
From Satellite to Query: 위성영상의 자동수집과 정밀처리, 그리고 LLM 기반 QueryGIS 이수암
연구소장
(쓰리디랩스)
다중 위성 영상 활용 발전방향 김진우
수석연구원
(LIG 넥스원)
고객 경험으로 본 현재와 미래 김동영
대표이사
(메이사)
세션 9 (정지궤도위성 활용)
회의실 401호
발표자
국가기상위성센터 위성산출물 개발 및 활용 손은하
기상연구관
(국가기상위성센터)
천리안 해양위성 시리즈(GOCI, GOCI-II) 정확도 개선 및 활용 기술 현황 박명숙 책임연구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환경위성 자료를 활용한 북한 경제활동의 간접 추정 연구 이원진
연구관
(국립환경과학원)
한반도 주변 해양환경 관리를 위한 GOCI-II 영상 활용사례 소개 김태호
본부장
(유에스티21)
정지궤도위성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환경감시 및 예측 임정호
교수
(울산과학기술원)
세션 10 (위성활용과 교육)
르웨스트 C
발표자
다중위성 융합지표반사도 산출을 위한 절대복사보정, 대기보정 및 BRDF 기술 개발 연구 염종민
교수
(전북대학교)
인공지능 기반의 위성영상 활용 연구 박선영
교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이전틱 AI 위성정보 활용 연구 사례 및 인력 양성 소개 이훈희
교수
(한서대학교)
다중 해상도 위성 영상 활용 고해상도 라벨링 데이터 생성 AI 연구 이돈구
교수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위성 SAR 시스템의 활용: 현황과 전망 박상은
교수
(세종대학교)
열적외선 위성영상분석 및 주요 활용 사례 정성학
전문위원
(우주안보연구소)
폐회 16:00 폐회식 및 경품추첨

※ 동시통역은 기조연설 및 세션 1/3/5/8에 대해서 진행

>